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비교 2025: 무엇이 더 이득인가?
2025년 핵심 요약
- 2025-07-22 단통법 폐지 → 통신사 지원금 공시 의무 폐지, 유통점 추가지원금 상한 폐지, 선택약정(요금 25%)과 추가지원금 동시 적용 가능.
- 따라서 요금 할인 + 기기 보조의 혼합 혜택을 설계할 수 있음.
근거: 과기정통부/정부 정책뉴스, 전자신문, IT동아 등
개념 정리: 공시지원금(공통지원) vs 선택약정(25%)
공시지원금(=공통지원)
과거엔 공시 의무 및 유통점 추가지원금 15% 상한이 있었으나, 2025년 7월 22일 이후 삭제되어 채널별 자율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.
선택약정 25%
단말 보조 대신 매월 요금의 25% 할인을 받는 제도(12/24개월). 기본 계산식(사업자 고지 기준 예시): (월정액 - 기본 약정할인) × 25%
.
유불리 비교표
비교 항목 | 공시지원(공통) | 선택약정(25%) | 혼합 전략(2025~) |
---|---|---|---|
할인 구조 | 기기값 즉시 할인 | 월 요금 25% 장기 할인 | 월 요금 25% + 유통점 추가지원 동시 적용 |
적합 상황 | 최신폰 초기 비용 크게 절감 | 고가 요금제·장기 사용 | 채널별 총액 최적화 |
위약금 흐름(경향) | 초기 반환금 큼 → 점감 | 중도까지 상승 후 점감 | 계약별 약관·금액 명시 필수 |
변동성/리스크 | 프로모션·채널 차등 커짐 | 요금제 유지·사용패턴 의존 | 계약서 명시·비교가 핵심 |
조회/적용 경로 | 통신사·유통점 제시 금액 확인 | 공식 페이지/앱 간편 신청 | 총지원금 비교 + 선약 병행 |
예시 계산(가상)
가정: 출고가 1,200,000원 / 유통점 추가지원금 350,000원 / 요금제 월정액 89,000원 / 선택약정 25% / 24개월
- 선택약정 누적 할인 = 89,000 × 0.25 × 24 = 534,000원
- 혼합 적용 총혜택 = 534,000 + 350,000 = 884,000원
실제는 채널 제시 금액·요금제·부가할인에 따라 달라집니다. 계약서 상 금액·조건을 확인하세요.
조회·재약정 실전 가이드
- 총지원금(모델/요금제별) 확인: 통신사/유통점 페이지에서 모델별 지원 안내 확인.
- 선택약정 25% 즉시 계산: 통신3사 공식 페이지에서 월 납부액 산출.
- 재약정: 홈페이지/앱/고객센터에서 약정 만료 전후 재약정 가능. 조건 변동 유의.
체크리스트
- 초기비용 vs 월납부액 중 무엇을 우선시할지 결정
- 혼합 적용(선약+추가지원) 가능 여부와 조건을 계약서에 명시했는지 확인
- 해지·변경 전 위약금 규칙 반드시 확인
- 무약정/특수 요금제는 공시/선약/추가할인 제외될 수 있음
2025 단통법 폐지 이후 달라진 휴대폰 할인 구조. 공시(공통) vs 선택약정 25% 비교, 혼합 적용, 조회·재약정·계산법까지 한 번에.